연산자

    [DB] SQL, DML(SELECT),연산자,WHERE, DISTINCT, ORDER BY

    [DB] SQL, DML(SELECT),연산자,WHERE, DISTINCT, ORDER BY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 구조적 / 질의 / 언어 == 구조적인 질의를 하기 위한 언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방법이나 절차를 기술하는 것이 아닌 조건을 기술하여 작성 ⭐중요⭐ ➡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조회, 삽입, 수정, 삭제) ➡ 숫자: 정수 실수 구분없이 숫자이다 ➡ 문자 : 똑같은 가변길이 문자이더라도 LONG보다는 용량이 더 큰 CLOB을 많이 쓴다. 🚩 SELECT : 조회 SELECT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조회하는 경우 알맞은 조회 결과의 묶음인 RESULT SET이 반환된다. 참고) DML > DQL SELECT는 DML..

    [Java] Operator(연산자) 종류

    [Java] Operator(연산자) 종류

    ✍ Operator(연산자) 정의: 주어진 식을 계산하여 결과를 얻어내는 과정인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3 + 2 * 4 ➡ *, + 는 산술 연산자 ➡ 우선순위에 따라 * , + 순서대로 연산한다. 선 : * / % // 후 : + - ✔ 연산자 우선순위 공부할 때 종류 먼저 파악하면 좋다. 참고) (자료형) : 강제형변환에서 사용한 것 ex) (int), (double)등 🔎 단항, 이항, 삼항? 연산자가 하나의 숫자에 영향을 끼치면 : 단항 연산자가 두개의 숫자에 영향을 끼치면 : 이항 연산자가 세개의 숫자나 변수에 영향을 끼치면 : 삼항 1. 증감연산자(++, --) 피연산자를 1 증가시키거나 1 감소시키는 연산자로, 연산자 우선순위에서 전위만 우선순위 2번째이고 후위연산은 우선순위 최하위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