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웹 소켓

실시간 채팅에서는 웹소켓이 필요하다
SqlSessionTemplate : 트랜잭션처리까지 스프링에서 할 수 있게 처리해 준다
root-context에 sqlSessionTemplate는 bean으로 등록되어있다 -> 스프링이 관리하는데 ioc로 인해 개발자가 아닌 스프링이하는것이다
-----------------------------------------------------------
-- 채팅방
DROP TABLE CHAT_ROOM;
CREATE TABLE CHAT_ROOM (
CHAT_ROOM_NO NUMBER PRIMARY KEY,
TITLE VARCHAR2(200) NOT NULL,
STATUS_CD NUMBER DEFAULT 1 REFERENCES STATUS ,
MEMBER_NO NUMBER REFERENCES MEMBER
);
COMMENT ON COLUMN CHAT_ROOM.CHAT_ROOM_NO IS '채팅방번호';
COMMENT ON COLUMN CHAT_ROOM.TITLE IS '채팅방제목';
COMMENT ON COLUMN CHAT_ROOM.STATUS_CD IS '채팅방상태';
COMMENT ON COLUMN CHAT_ROOM.MEMBER_NO IS '회원번호(방 개설자)';
-- 채팅 내용
CREATE TABLE CHAT_MESSAGE (
CM_NO NUMBER PRIMARY KEY,
MESSAGE VARCHAR2(4000) NOT NULL,
CREATE_DT TIMESTAMP DEFAULT SYSTIMESTAMP,
CHAT_ROOM_NO NUMBER REFERENCES CHAT_ROOM,
MEMBER_NO NUMBER REFERENCES MEMBER
);
COMMENT ON COLUMN CHAT_MESSAGE.CM_NO IS '채팅메세지번호';
COMMENT ON COLUMN CHAT_MESSAGE.MESSAGE IS '작성한 채팅 메세지';
COMMENT ON COLUMN CHAT_MESSAGE.CREATE_DT IS '메세지 작성 시간';
COMMENT ON COLUMN CHAT_MESSAGE.CHAT_ROOM_NO IS '채팅방번호';
COMMENT ON COLUMN CHAT_MESSAGE.MEMBER_NO IS '회원번호';
-- 채팅방별 참여자
CREATE TABLE CHAT_ROOM_JOIN (
MEMBER_NO NUMBER REFERENCES MEMBER,
CHAT_ROOM_NO NUMBER REFERENCES CHAT_ROOM,
PRIMARY KEY(MEMBER_NO, CHAT_ROOM_NO)
);
COMMENT ON COLUMN CHAT_ROOM_JOIN.MEMBER_NO IS '회원번호';
COMMENT ON COLUMN CHAT_ROOM_JOIN.CHAT_ROOM_NO IS '채팅방번호';
CREATE SEQUENCE SEQ_CR_NO; -- 채팅방 번호 시퀀스
CREATE SEQUENCE SEQ_CM_NO; -- 채팅 메세지 번호 시퀀스
vo객체 생성 해서 필드 선언하고
resultMap만들어야한다.
기능
목록 조회
입장
메세지
나가기
목록 조회
header.jsp에서 목록을 조회할 주소 입력

controller
HTTP
HTTP | Websocket |
/chat/roomList | /chat/insertMessage |
/chat/으로 들어온 주소 처리를 웹소켓이 하기전 HTTP가 처리하기때문에 @RequestMapping을 진행하지 않느다


채팅방 만들기
생성된 채팅방 입장

비회원이 주소로 접근할 경우 생기는 예외는 직접 실행해 확인하고 해당 예외를 적용ㅇ하면된다
sockjs를 이용한 WebSocket 구현을 위해 라이브러리 추가
웹소켓을 위한 전용객체가 있는데 sockjs는 웹소켓과 유사한 객체를 제공하는 JS 라이브러리이다.
<c:url>
c:set = 변수선언
c:url : 값이 주소형태로 바뀌어 출력된다
Spring 웹소켓 모듈 + Jackson-databind(이미 준비된 상태)
- pom.xml에 라이브러리 추가


동일 버전인 5.2.10버전은 오류가 있어 최신버전으로 진행

HTTP를 처리하는 방법들은
포워드
리다이렉트
에이젝스 3개를 했는데
웹소켓에서 저 3개가 아닌 bean으로 처리한다 -> DispatcherServlet
servlet-context.xml
1. namespaces 탭에서 websocket을 체크
2. Bean 생성 구문 작성
ChatWebsocketHandler
/* WebSocket
- 브라우저와 웹서버간의 전이중통신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이다
- HTML5버전부터 지원하는 기능이다.
- 자바 톰캣7버전부터 지원했으나 8버전부터 본격적으로 지원한다.
- spring4부터 웹소켓을 지원한다.
(전이중 통신(Full Duplex): 두 대의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동시에 각각 독립된 회선을 사용하는 통신 방식. 대표적으로 전화망, 고속 데이터 통신)
WebSocketHandler 인터페이스 : 웹소켓을 위한 메소드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 WebSocketHandler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은 클래스를 이용해 웹소켓 기능을 구현
WebSocketHandler 주요 메소드
void handlerMessage(WebSocketSession session, WebSocketMessage message)
- 클라이언트로부터 메세지가 도착하면 실행
void afterConnectionEstablished(WebSocketSession session)
- 클라이언트와 연결이 완료되고, 통신할 준비가 되면 실행
void afterConnectionClosed(WebSocketSession session, CloseStatus closeStatus)
- 클라이언트와 연결이 종료되면 실행
void handleTransportError(WebSocketSession session, Throwable exception)
- 메세지 전송중 에러가 발생하면 실행
----------------------------------------------------------------------------
TextWebSocketHandler : WebSocketHandler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아 구현한 텍스트 메세지 전용 웹소켓 핸들러 클래스
handlerTextMessage(WebSocketSession session, TextMessage message)
- 클라이언트로부터 텍스트 메세지를 받았을때 실행
웹소켓 통신 : 응답이 없어도 요청이 된다
*/


package edu.kh.fin.chat.websocke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ocket.CloseStatus;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ocket.TextMessage;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ocket.WebSocketSession;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ocket.handler.TextWebSocketHandler;
// 웹소켓 관련 요청/응답 코드를 작성하는 클래스(bean으로 등록되었다)
// TextWebSocketHandler : websocketHandler 자식
public class ChatWebsocketHandler extends TextWebSocketHandler{
// 클라이언트와 연결이 완료되고, 통신할 준비가 되면 실행
@Override
public void afterConnectionEstablished(WebSocketSession session) throws Exception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super.afterConnectionEstablished(session);
}
// 클라이언트로부터 웹소켓통신으로 텍스트 메세지를 전달 받은 경우
@Override
protected void handleTextMessage(WebSocketSession session, TextMessage message) throws Exception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super.handleTextMessage(session, message);
}
// 클라이언트와 연결이 종료되면 실행
@Override
public void afterConnectionClosed(WebSocketSession session, CloseStatus status) throws Exception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super.afterConnectionClosed(session, status);
}
}
chat.js
서로 다른 두 명이 같은 통신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
왼 : 보낸메세지를 받음
오 : 메세지를 보냄


java에서 json 객체형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json object로 만들어 값을 하나씩 얻어와
새로운 ChatMessage 객체를 생성해서 값을 set했었다
jackson-datab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