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Servlet & JSP

[Servlet] 설치 :: 이클립스, 톰캣, vscode

Deeb 2021. 11. 28. 17:28

1. Apache Tomcat 톰캣 설치 

- 버전 8의 zip 다운 -> 사용할 폴더에 저장 

 

- Apache Tomcat은 자바와 연관이 많은 회사로 실무에서는 톰캣 7, 8을 쓴다고하는데 지금은 공부하는 용으로 설치할 것이기 때문에 버전8을 설치한다.

- 설치버전과 압축 풀어쓰는 버전이 있는데 설치버전을 쓰면 서버를 쓸때마다 계속 바꿔줘야 하기 때문에

압축 풀어쓰는 버전을 사용하는게 덜 번거롭기때문에 여기서 ZIP으로 다운

 

- 이 ZIP파일을 TOOLS 폴더(기존에 설치 프로그램들 모아둔 폴더)에 저장하는데

새폴더를 생성해서 정리하는게 깔끔하다.

반디집의 '여기에 풀기'로 진행  


eclipse

2. 이클립스에서 사용하지 않을 창들 close

남겨두어야 할 window : Markers, Servers, Console

++ 우상단에 자바 EE인지도 확인하기 

만약 아니라면 옆에 OPEN PERSPECTIVE에서 JAVAEE가 있는지 확인하기 

 

3.  prefernces 설정 변경

: 상단 Window에서 prefernces 선택

 

1) encoding 설정

- Content Types

 : text 선택만 한 상태에서 default encoding에 'UTF-8' 작성 -> Update

- Workspace

 : text tile encoding 설정 -> UTF-8 -> Apply

 

2) CSS, HTML, JSP  Files 설정

: encoding 설정을 UTF-8로 변경

 

3) spelling

: 코드를 작성할때마다 문법검사기가 실행되면 용량을 차지하기때문에 사용할지 말지는 선택  

검사를 계속 진행할거면 checking 선택하고 'UTF-8' , 안할거면 해제

 

++ font , theme 설정 

: 필수는 아니고 원하는 폰트로 선택

 

4) Show heap status

- appe 검색해서 General ->  체크 박스 선택

:이클립스에서 실행되는 것들이 담기는 힙의 상태를 하단에서 볼 수 있다.

4-1) 메모리 설정

- 처음 기본 용량은 작기 때문에 먼저 이클립스를 종료한 후 

이클립스 바로가기에서 우클릭 -속성 -파일위치열기- ini(이클립스 초기 설정 파일) - 메모장 켜서 ini 드래그하기 그리고 하단에 메모리 지정하는 부분 확인하기

s: 최소, x:최대 : 이 두개를 같은 크기를 주면 메모리가 항상 일정하다

2048 또는 1024로 통일해서 설정하면 고정길이로 지정해준다. 그리고 저장

 

이클립스 다시 키면 실제로 할당된 메모리와 사용중인 메모리를 확인할 수 있고

휴지통은 메모리가 갑자기 늘때 사용하면 원활하게 해준다

 

4. prefernces - server

- 서버가 실행할 실행환경 선택한 후 설치한 버전의 톰캣 선택

이름은 그대로 사용하는걸 권장

폴더 선택 후 Finish

 

5. New Server 설정

- Server창에서 create a new server - 사용할 버전의 Tomcat 선택 - 이름 servlet server로 바꿔주기(선택사항)

 

: 서버 창에서 어떤 서버창을 설정할건지 지정

위에 Runtime Enviorment 에서 하는건 실행용 서버 

 

 

 

이클립스와 vscode 자동연동되게하는 설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