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jQuery

[jQuery] 개요

Deeb 2021. 11. 16. 20:48

jQuery 란?
: 기존에 복잡했던 클라이언트 측 HTML 스크립팅(JS)을 간소화 하기 위해 고안된 Javascript Library 이다.
: jQuery는 적은양의 코드로 빠르고 풍부한 기능을 제공한다.

(단점. jQuery 라이브러리를 다운 받아 사용 -> 속도가 조금 느림)

 

jQuery 라이브러리 연결 방법

        jQuery 라이브러리는 .js 확장자로 작성되어 있어 script 태그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1) jQuery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받아서 직접 연결
        - 장점 : 서버 컴퓨터에 라이브러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연결 속도가 빠름
        - 단점 : 폴더 구조 변경 시 경로가 꼬이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jQuery 공식 홈페이지 : https://jquery.com/
        - jQUery CDN 코드 제공 페이지 : https://code.jquery.com/

        2)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을 이용한 연결 방법
        - 장점 : 언제 어디서든 jQuery를 이용할 수 있다.
        - 단점 : 온라인 환경에서 이용 가능. 인터넷 속도에 따라 지연이 될수 있다.

 

 

jQUery CDN 코드 제공 페이지

 

비 압축 버전 -iuncompressed

minified인 min버전이 더 낫다

 

<!-- 동일한 라이브러리를 여러개 동시 연결하는 경우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 다운로드 후 직접 연결 -->
    <!-- <script src="js/jquery-3.6.0.min.js"></script> -->

    <!-- CDN -->
    <script src="https://code.jquery.com/jquery-3.6.0.min.js" integrity="sha256-/xUj+3OJU5yExlq6GSYGSHk7tPXikynS7ogEvDej/m4=" crossorigin="anonymous"></script>

    <!-- jQuery 코드를 작성하는 경우 반드시 jQuery 라이브러리 연결 코드 아래에 작성할 것 -->
    <script src="js/01_jQuery개요.js"></script>

JS 와 jQuery 작성법 차이    

<button id="js-btn">JS 버튼</button>
<button id="jQuery-btn">jQuery 버튼</button>
// JS 코드
document.getElementById("js-btn").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this.style.backgroundColor = "yellow";
});

// jQury 코드
$("#jQuery-btn").on("click", function(){
    $(this).css("backgroundColor", "yellow");
});

 

HTML 문서 해석 순서와 window.onload, ready() 함수의 차이점
: HTML 문서는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해석된다!
-> 아랫쪽에 작성되어 미해석된 코드는 위쪽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다.


 * window.onload와 ready() 함수의 공통점
          (JS)            (jQuery)
 -> HTML 문서가 랜더링이 완료된 후 수행된다.

* 차이점
- window.onload는 페이지 내에서 딱 한번만 작성 가능!
(중복 작성 시 마지막 작성 내용이 적용된다)
 - jQuery의 ready()함수는 여러번 작성 가능!

*** ready() 작성 방법 3가지
1) jQuery(document).ready(function(){ 코드; });
2) $(document).ready(function(){ 코드; });
            ( '$' 기호는 jQuery를 의미한다. )
3) $(function(){ 코드; });

 


HTML 해석 순서 확인용 요소

(script 밑에 작성)

<div id="test1">테스트1번</div>
<div id="test2">테스트2번</div>
// HTML 해석 순서 확인

// JS - window.onload (문서 로드가 끝났을 때)
window.onload = function(){
    document.getElementById("test1").style.background = "pink";
}

// window.onload 중복 작성
// -> 중복 작성 시 마지막으로 작성된 window.onload만 적용된다
window.onload = function(){
    document.getElementById("test1").style.fontSize = "30px";
}



// jQuery - ready() 함수 적용

// 문서의 로딩이 완료되어 준비가 되었다면 기능을 수행
jQuery(document).ready(function(){
    $("#test2").css("backgroundColor", "darkgreen");
});

// ready() 함수 중복 작성
// -> 이전에 작성된 ready() 함수와 중복 작성이 가능하다!
$(document).ready(function(){
    $("#test2").css("fontSize", "30px");
});

$(function(){
    $("#test2").css("color", "white");
});

// 화살표 함수
$(()=>{  $("#test2").css("fontWeight", "bold");})

 

반응형